본문 바로가기
  1. 무인정보단말기
  2. 장애 유형별 공통 UI 가이드
  3. 수어

수어 안내를 제공해야 한다.

청각장애인이 무인정보단말기 사용 상황과 맥락을 알 수 있도록 의미 있는 모든 콘텐츠는 수어 안내를 제공해야 한다.
수어 안내 제공을 위한 리소스가 부족하다면, 자막 안내로 대체해야 한다.

설명

본 가이드의 목적은 청각장애인(농인)에게 무인정보단말기에 수어 안내(대체 콘텐츠)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수어 안내 제작 방법과 표준화를 위하여 제작했다. 이는 청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무인정보단말기 사용의 격차를 해소하여 차별 없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청각장애인의 무인정보단말기 접근 기회를 확대하기 위함이다.

  • 대한민국의 공식 언어, 한국수어

    한국수어는 2016년 한국 수화 언어법 재정을 통해 대한민국의 공식 언어로 인정되었다. 청각장애인들은 소리로 말을 배울 수 없어서 ‘보이는 언어’를 사용한다. 이 ‘보이는 언어’가 바로 ‘수어 (手語, Sign language)’다. 이처럼 수어를 일상어로 사용하는 사람을 ‘농인’이라고 한다. ‘한국 수화언어법’에 따르면 ‘한국수어’는 ‘한국수화언어’를 줄인 말로, 한국어나 영어와 같은 독립된 언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한국수어는 한국어와는 문법 체계가 다른, 대한민국 농인의 고유한 언어이다.

  • 수어와 몸짓(제스처)의 차이

    수어를 두고 한국어로 말할 때 하는 몸짓(제스처) 같은 것이 아닌가 오해할 수 있다. 하지만 수어는 단순한 몸짓과는 전혀 다르다. 수어는 손과 손가락의 모양(수형), 손바닥의 방향(수향), 손의 위치(수위), 손의 움직임(수동) 등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또한, 같은 동작을 하더라도 어떤 표정을 짓느냐에 따라 다른 의미가 된다.

  • 농인의 이해

    2017년 문화체육관광부의 한국수어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농인의 69%는 주요 의사소통 수단으로 한국수어를 사용하고 있다. 농인은 볼 수 있으니 한국어로 의사소통을 할 거로 생각할 수 있으나, 한국어 단어와 문법에 익숙하지 않은 농인은 비장애인이 외국어를 어려워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한국어를 어려워할 수 있다. 드라마나 영화에서 종종 농인이 한국어로 말하는 사람의 입 모양만 보고도 무슨 말인지 이해하는 것처럼 그려지지만, 한국어 단어와 문법에 익숙하지 않은 농인이 입 모양만 보고 상대가 말하는 내용을 이해하기는 매우 어렵다.

※ 용어 정리

  • 1. 청각장애인 : 청력에 장애가 있는 사람.
  • 2. 한국수어 : 대한민국 농문화 속에서 시각ㆍ동작 체계를 바탕으로 생겨난 고유한 형식의 언어를 말한다.
  • 3. 농인 : 청각장애를 가진 사람으로서 농문화 속에서 한국수어를 일상어로 사용하는 사람을 말한다.
  • 4. 농문화 : 농인으로서의 농정체성과 가치관을 기반으로 하는 생활양식의 총칭을 말한다.
  • 5. 한국수어사용자 : 청각장애 또는 언어장애로 인하여 한국수어를 일상어로 사용하거나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을 말한다.
  • 6. 수어통역 : 한국수어를 국어로 변환하거나 국어를 한국수어로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가이드 구성

수어 안내 제작은 한국어 문장을 수어 원고(Script)로 바꾸고 이를 다시 수어 안내자 녹화 또는 수어 애니메이션(아바타)으로 제작하는 방식이다.
수어 안내를 제작하는 데 있어서 주의 및 참고사항을 가이드 한다.

  • 수어 안내 규격

  • 수어 안내 위치

  • 수어 안내 제작

  • 수어 안내 항목 및 내용

수어 안내 규격

청각장애인이 제 1언어로 사용하는 한국수어의 형태로 제공해야 한다.

수어 안내는 표준 한국수어를 사용해야 하며, 무인정보단말기에 표시된 단어를 번역해주는 수지한국어는 지양해야 한다.

수어 안내자 크기는 수어 동작을 명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무인정보단말기 화면과 사용자의 거리를 고려하여 수어의 동작이 명확히 보일 수 있는 수어 안내자의 크기를 반영해야 한다.

수어 안내를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수어 안내자의 상체는 전부 보여야 한다. 또한, 수어 안내자의 좌, 우 그리고 머리 위 공간을 활용하는 수어의 표현을 고려하여 수어 안내자의 좌, 우 그리고 머리 위 방향의 충분한 수어 동작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특히 명확한 구분선을 활용하여 별도의 공간으로 수어 안내를 제공하는 경우, 수어 안내자의 팔이 수어 안내 공간 밖으로 이탈하여 동작 확인을 할 수 없는 경우는 허용되어서 안 된다.

수어 동작을 명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수어 안내자 의상 색상을 반영해야 한다.

수어 안내자(아바타)의 정확한 동작을 인식할 수 있도록 수어 안내자의 의상 색상과 배경 색상의 대비가 명확해야 한다. 수어 안내자의 의상은 화려하거나 시선을 분산시키는 무늬로 된 의상, 가독성을 떨어뜨리는 장신구는 착용하지 않아야 한다.

권장 사례

수어 안내자 권장 사례 예시이미지

피해야할 사례

수어 안내자 피해야할 사례 예시이미지

수어 안내 위치

수어 안내는 정보와 컨트롤 영역을 피해서 고정적으로 특정 영역에 배치해야 한다.

수어는 콘텐츠가 없는 상단에 고정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권장한다. 하단에 배치할 경우 컨트롤 영역과 겹칠 우려가 있어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청각장애인이 과업을 수행하는 동안 무인정보단말기의 중앙을 보지 못하고 하단으로 시선이 가기 때문에 과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 불편할 수 있다. 수어 안내를 사용하는 사람에게는 글자보다 수어 안내(영상)가 우선이 돼야 한다. 수어는 무인정보단말기 콘텐츠를 이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위치하여야 한다. 무인정보단말기의 다른 안내 화면을 가리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거나 사용자에 의해서 확대, 축소, 닫기, 열기 기능을 제공하여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권장한다.

권장 사례

수어 안내 무인정보단말기 권장 사례 예시이미지

피해야할 사례

수어 안내 무인정보단말기 피해야할 사례 예시이미지

선택적으로 수어 안내 버튼을 눌러서 수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한다.

수어 안내는 시각장애인이 수어 안내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반복 재생이나 일시 정지가 가능해야 한다. 수어 아바타를 보조적인 정보 출력 콘텐츠로 제공 시 디스플레이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버튼을 생성하여 수어 아바타의 필요 여부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보조적인 출력장치로서의 수어 아바타는 필요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화면 사용에 방해받지 않도록 사이즈와 크기를 조절할 수 있거나, 닫기 버튼을 통해 숨길 수 있도록 권장한다. 사용자가 수어 아바타의 도움이 필요하여 수어 아바타 ‘켜기‘ 컨트롤을 동작시키면 수어 아바타가 화면에 표출되도록 권장한다.

수어 안내 제작

수어 안내 스크립트(원고) 제작은 무인정보단말기 사용 상황과 맥락을 명확히 알 수 있도록 제작해야 한다.

수어 안내는 단순 화면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청각장애인이 실질적으로 무인정보단말기를 사용함에 불편함 없이 도움을 줘야 한다.

한국수어와 한국어의 언어 구조적 차이 이해
  • 한국수어는 한국어와 다른 고유한 문법 체계 및 표현 양식을 지니고 있다. 한국어식으로 표현할 수 없는 통사론적 구문론적 특징이 있다.
  • 한국수어가 한국어 문장대로 나열하기만 하면 된다고 쉽게 생각하지만, 문장식으로 한국수어를 표현하는 것은 한국수어가 아니다.
  • 농인들은 한국어 문장식으로 한국수어를 표현하지 않는다.
  • 영어를 한국어식으로 표현하면 어색한 것처럼, “나는 학교에 간다”라는 말의 영어를 한국어식으로 하면 “I school to go”가 되는데 한국수어를 한국어 문장식으로 표현하면 어색할 뿐만 아니라 보통 농인들이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 음성으로 한국어 문장을 표현할 수 있어도 손짓으로 한국어 문장을 직역하는 것은 무리이다.
  • 스크립트를 작성하는 사람은 농인들이 이해할 수 있는 단어나 문장을 선택하여야 한다.

수어 안내를 제작하는데 적절한 인력을 구성해야 한다.

수어 안내자와 감수자. 번역가는 2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수어에 능통한 농인이어야 한다. 수어 안내자의 경우 수어 아바타로 대체 할 수 있다.

필요 인력
인력 구성, 역할
인력 구성 역할
수어 안내자
(수어 아바타)
수어 안내자는 무인정보단말기 이용대상, 사용 상황 등 무인정보단말기 사용 맥락을 정확히 파악하여 번역된 스크립트 내용을 전달력 있게 구연하는 사람(아바타)을 지칭한다. 이는 아바타로 대체 할 수 있다.
한국수어 감수자 한국수어 감수자는 제작 현장에 참여하여 수어 안내자의 안내 내용 및 방법 등을 지도하고 제작 시 발생하는 오류사항 수정 등 제작 현장을 관리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한국수어 감수자는 2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수어 및 한국어에 능통한 농인이 포함되어야 한다. 한국수어 감수자는 한국수어 감수표를 표시하며 수어 안내자에게 아래 사항을 지도한다.
  • 스크립트와 수어 표현의 일치 여부 확인 및 지도
  • 표정 및 몸짓 지도 등
한국수어 번역가 한국수어 번역가는 청각장애인의 한국수어 능력을 고려하여 무인정보단말기 사용법을 왜곡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한국수어로 번역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스크립트 제작 및 수어 번역을 하는 것을 의미하며, 한국수어 번역가는 2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수어 및 한국어에 능통한 농인이 포함되어야 한다. 불가피한 경우 2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한국수어 통역사도 참여할 수 있다.
수어 안내 번역 감수자 무인정보단말기 수어 안내를 위하여 한국수어로 번역된 스크립트 내용의 정확성을 점검한다.

수어 안내 항목 및 내용

무인정보단말기 사용 상황과 맥락을 이해하기 위한 수어 안내를 해야 한다.

메뉴와 같은 단어 위주가 아닌 무인정보단말기 화면마다 사용 상황과 맥락 맞는 수어 안내를 해야 한다. 수어는 음성을 표현 양식으로 사용하는 영어나 한국어와 달리 손과 표정, 몸의 움직임과 함께 공간을 활용해 의미 정보와 문법 정보를 전달하는 시각언어이다. 수어 전문가의 감수를 통해 높은 이해도의 수어 안내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수어 안내 콘텐츠 제작 프로세스에서 사용자 UX까지 최적화하여 제공해야 한다.

모든 메뉴에서 수어 안내가 제공되어야 한다.

수어 안내만으로 무인정보단말기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수어 안내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모든 안내가 수어로 제공되는 것을 권장한다.

글자 안내보다 수어 안내가 우선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수어 안내를 사용하는 사람에게는 글자보다 수어 안내(영상)가 우선이 되어야 하며, 화면의 공간이 확보된다면 수어와 한국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을 권장된다.

이 페이지의 내용과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만족도
자료 담당자
김민수 선임(053-230-1380)
최근자료수정일
2024-03-25